입춘자 (입춘대길, 건양다경)
CLIENTS > –
PROJECT > Typographic
DATE >2024.07
2025년을 위한 입춘첩을 디자인했습니다. 입춘첩에 들어가는 한글 서체를 디자인하고 같은 조건으로 라틴자를 디자인했습니다.
기원과 축원을 위한 이 입춘첩의 배경에는 동양과 서양에서 행운을 상징하는 복주머니 / 네잎클로버 / 말발굽 / 마트로시카 / 악마의 눈 등을 넣었습니다.
컬러는 두 가지로 바리에이션하였고 이 입춘첩은 을지로 ‘계영배’에서 올해 겨울부터 판매 예정입니다.
I designed a “Ipchuncheop” (Seasonal Blessing Scroll) for 2025.
I created a custom Korean typeface specifically for the scroll, and also designed Latin letters to match the same visual style.
As a symbol of wishes and blessings, the background features a mix of lucky charms from both Eastern and Western cultures—including a lucky pouch, four-leaf clover, horseshoe, matryoshka doll, and evil eye.
The scroll is available in two color variations, and will be sold starting this winter at ‘Gyeyoungbae’ in Eulji-ro.

IDEA >>
한글은 낱자를 하나씩 풀어쓰지 않고 하나의 글자 마디로 모아쓰는 특징이 있다.
소리를 모아 한 글자를 만드는 한글의 특징을 라틴 문자에 그대로 적용해
초성-중성-종성으로 됐을 때의 경우들을 스케치했다

IDENTITY >>
정성스럽게 쓰인 손글씨처럼, 한국 손글씨의 독특한 매력은 획과 획의 만남 그로 인해 생기는 공간에 있다.
손글씨만의 부드러운 곡선과
곡선이 만들어 낸 넓은 공간과 키 아이덴티티로 정립하고 한글서체와 영문서체에 적용해 디자인했다.






